서울시, '남산 회현자락'「한양도성 현장유적박물관」설계공모
상태바
서울시, '남산 회현자락'「한양도성 현장유적박물관」설계공모
  • 서울로컬뉴스
  • 승인 2017.01.26 12: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26~3.27. 국내외 전문가 대상 「한양도성 현장유적박물관 설계공모」

남산 회현자락 한양도성 발굴 유구를 원형 그대로 보존하고, 발굴 및 보존 과정을 공유할 수 있는 현장유적박물관으로 조성
1.26.(목)부터 ‘서울을 설계하자’ 홈페이지에 공모 공고 및 참가 등록

남산전경(1927년)
위치도

서울시는 남산 회현자락에 2018년까지 ‘한양도성 발굴 및 보존 과정을 공유할 수 있는 현장유적박물관을 조성’하기 위해 건축, 조경 도시계획 등 국내외 전문가가 참여하는 국제설계공모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조선신궁

한양도성 남산 회현자락 구간은 숭례문에서 남산 정상으로 연결되는 구간으로 조선 태조때부터 축성된 한양도성이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와 고도성장기를 거치면서 훼손되거나 훼철(毁撤)되었다. 이는 한양도성의 아픈 역사이자 우리나라의 일제 강점기나 근대화과정의 남산 훼손의 산 역사로 일제 침략으로 인해 인류문화유산을 훼손 당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서울시에서는 2009년부터 한양도성 보존·정비를 위해 “남산 회현자락 정비사업”을 3단계로 나누어 추진하고 있다. 1단계로 아동광장 일대 성벽 84m(2009년 완료), 2단계로 백범광장 일대 성벽 245m(2012년 완료)에 대한 복원사업을 완료한 바 있다.

서울시는 이번 설계공모를 통해 그간 여러 차례 행해졌던 성벽 복원 방식이 아니라, 발굴된 유적을 추가적인 훼손을 막는 범위 내에서 원형대로 보존하여 시민들이 한양도성의 발굴 및 보존 과정을 공유할 수 있는 현장유적 박물관을 조성하고자 한다.

이번 현상설계 공모 참여자는 약 43,630㎡의 남산 회현자락 대상지에 현 상태의 유적 보호를 위해 필요한 위치에 적정 규모와 기능을 갖춘 보호각(保護閣)을 계획하여야 하며, 현장 유적박물관과 보호각은 유적의 발굴상태, 보존 의미, 남산의 자연 지형과 생태환경 등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설계해야 한다. 설계 시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남산 회현자락 3단계 구간은 국내 문화재보호, 유네스코 세계유산제도의 유산 보존철학과 세계 유산 협약 운영지침에 따라, 발굴된 현존 유구가 기본적으로 지속 가능하게 보존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이 구간은 한양도성의 축조기법과 성격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적의 발굴과 보존 방식을 연구하는 고고학의 현장이자 시민들이 한양도성의 발굴 및 보존과정을 공유, 향유하는 현장 유적박물관으로 조성한다.

이 구간에는 현 상태의 유적 보호를 위해 필요한 위치에 적정 규모와 기능을 갖춘 보호시설을 설치한다.

현장 유적박물관과 보호각은 유적의 발굴상태, 보존의미, 남산의 자연지형과 생태환경 등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설계해야 한다.

사적으로 지정된 문화재보호구역 내의 건축행위이므로 유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체 가능한 형식으로 설계해야 한다.

참가등록은 1월 26일(목)부터 3월 7일(화) 17시까지 서울시 공공건축 설계공모 통합 홈페이지 '서울을 설계하자' (http://project.seoul.go.kr)와 한양도성 공모 전용 홈페이지(http://hanyangdoseong.co.kr)를 통해 진행되며, 작품은 3월 27일(월)까지 서울시 한양도성도감으로 제출 하면 된다.

작품심사는 1차 4월 7일(금), 2차 4월 14일(금)에 실시하며, 4월 21일(금) 홈페이지를 통해 심사결과와 작품을 열람할 수 있으며, 당선자에게는 설계권이 부여된다.

고홍석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남산 회현자락은 숭례문에서 옛 남산식물원까지 일제의 조선신궁 건립으로 인해 한양도성이 훼철되었던 가슴 아픈 역사가 있는 공간”이라며, “남산 회현자락에 한양도성 현장유적 박물관이 조성되면 남산의 역사 문화적 특성과 자연 환경이 제대로 어우러지는 역사 현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양도성 시대별 축성현황(1970년대 복원1)
한양도성 시대별 축성현황(1970년대 복원2)
한양도성 시대별 축성현황(각자성석1)
한양도성 시대별 축성현황(각자성석2)
한양도성 시대별 축성현황(다양한 축성시기1)
한양도성 시대별 축성현황(다양한 축성시기2)
한양도성 시대별 축성현황(세종연간1)
한양도성 시대별 축성현황(세종연간2)
한양도성 시대별 축성현황(숙종이후1)
한양도성 시대별 축성현황(숙종이후2)
한양도성 시대별 축성현황(태조연간1)
한양도성 시대별 축성현황(태조연간2)
현장사진(분수대, 조선신궁 배전터)
현장사진1(전경)
현장사진3(발굴 유구)
현장사진4(발굴 유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